티스토리 뷰

복지

2021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30만원

다이노코어 2020. 12. 7. 11:07

2021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30만원 


아이키우느라 정작 자기자신의 노후를 미쳐 준비하지못한 어르신들은 삶이 막막할 수 밖에 없는데요. 나이가 들어서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렵고 생활비는 없고 이런분들은 끼니를 거르기 일쑤입니다. 자녀를 위해 열심히 평생을 일했지만 이제는 자식들은 다 나가버리고 근로능력은 상실했고... 이런분들에게 편안한 노후생활에 도움을 드리고자 기초노령연금을 드립니다. 심각한 노인빈곤문제를 해결하고, 노후에 안정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합니다. 2021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조건이 확대 되어 더 많은 분들이 30만원의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. 


 


달라진 2021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 

현행: 단독가구 기준, 소득하위40% 월 최대 30만 원, 소득하위40~70% 월 최대 25.5만 원 ▶▷▷▷▷2021년 : 단독가구 기준, 소득하위 70% 월 최대 30만 원

2021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 

-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70% 수준으로 소득·재산 수준이 선정기준액 이하인 자 (20년 기준 : 단독가구 148만원, 부부가구 236.8만원) 

 - 기초연금 수급자 소득하위 70%  대상 월 최대 30만원 지급

2021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최대 30만원을 받을 수 있는 분들이 늘어나게 될것입니다. 안정적인 노후생활에 도움이될것 입니다. 



2021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신청방법 

- 신청 대상 : 만 65세 이상의 한국 국적을 가지고 계시고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어르신분들이 신청가능합니다. 배우자, 자녀, 형제자매, 친족, 사회복지시설장, 8촌 이내의 혈족, 4촌 이내의 인척등의 대리 신청도 가능합니다.

- 신청 장소 : 주소지 관할 읍, 면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 또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및 상담센터에 신청 

- 신청 기간 : 만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합니다.

- 2021년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 필요서류신분증(주민등록증, 자동차운전면허증, 장애인등록증, 여권 등), 기초연금을 지급받을 통장사본 (본인계좌) 등 입니다. 



2021년 기초노령연금 30만원 지급일

기초연금은 매월 25일에 지급합니다. 25일이 토요일이거나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전일에 지급해 드립니다. 2021년 기초노령연금 30만원 수급자격 및 조건 그리고 필요서류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더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번, 국민연금공단1355번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 

노인일자리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 매달 27만원! 

이번 모집 대상 사업은 공익활동과 시장형 사업단으로 만 60세 또는 만 65세 이상이라면 조건에 따라 신청이 가능하다.

2021 노인일자리 -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사회활동

공공형 

참여연령 :만 65세 이상 기초연금수급자

활동내용 :노노케어, 학교급식지원봉사, 도서관 등 공공시설 봉사

활동기간 : 10~12개월

활동시간 : 월 30시간 이상(일 3시간 이내)

활동비 : 월 27만원

재능나눔활동

참여연령 : 만 60세 이상

활동내용 : 학대노인 예방·지원, 노인이용시설 안전관리 등

활동기간 : 8개월

활동시간 : 월 10시간 이내

활동비 : 월 10만원





2021 노인일자리 - 경력과 경험을 활용한 일자리

사회서비스형

참여연령 : 만 65세 이상

근무내용 : 지역사회 돌봄, 노인맞춤돌봄 서비스, 보육시설업무지원 등

근무기간 : 10개월

근무시간 : 월 60시간 이상

급여 : 월 71만원

*급여는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

시장형

참여연령 : 만 60세 이상

근무내용 : 소규모 매장(식품제조, 카페 등) 및 아파트 택배, 지하철 택배 등 단, 근무기간, 시간, 급여는 근로계약에 따라 다름

취업알선형

참여연령 : 만 60세 이상

근무내용 : 시험감독관, 주유원, 단순노무직(경비 등), 관리사무직 등 단, 근무기간, 시간, 급여는 근로계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 

노인일자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만약 참여를 희망하는 경우 '노인일자리 여기' 접속 또는 지방자치단체별 행정복지센터나, 가까운 시니어클럽, 노인복지관, 대한노인회에서 방문 신청접수가 가능하며, 노인일자리 1544-3388 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