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2023년 기초노령연금 월 202만원 이하
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 중 압도적 1위다. 게다가 자살률도 마찬가지인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에서는 복지정책으로서 만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% 이하 어르신께 매월 일정 금액의 연금을 지급하는 기초연금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. 하지만 수급 자격 요건이 까다로워 실제 혜택을 받는 사람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. 하지만 올해는 기초노령연금 대상자 기준을 완화하여 좀 더 많은 분들이 기초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. 그렇다면 기초연금이란 무엇이고 신청방법 및 수령액 산정 방법 그리고 대상자 기준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.
1. 2023년 기초노령연금 지급 대상자
- 전체 65세 이상 노인 70%를 대상으로 지급
- 지급 대상자 를 선정하는 금액 (선정기준액 )을 매년 12월말 확정
- 노인 가구의 소득과 재산을 합산한 금액 (소득인정액 )이 , 해당 연도 선정기준액 이하이면 기초연금 지급 대상자에 해당
2. 2023년 기초노령연금 선정기준액
기초노령연금 선정기준액이란?
65 세 이상인 사람 중 기초연금 수급자가 70% 수준이 되도록 설정하는 기준선 으로 , 노인가구의 소득재산 수준과 생활실태 , 주택 공시가격 ,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매년 조정
내년 노인 단독가구 소득인정액
월 202만 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
-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180만 원(2022년도) → 202만 원(2023년도)으로 인상 -
< 기초연금 연도별 선정기준액 >
연도 | 2018년 | 2019년 | 2020년 | 2021년 | 2022년 | 2023년 |
단독가구 | 131만원 | 137만원 | 148만원 | 169만원 | 180만원 | 202만원 |
부부가구 | 209.6 만원 | 219.2 만원 | 236.8 만원 | 270.4 만원 | 288 만원 | 323.2 만원 |
기초노령연금 소득인정액이란?
소득 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
- 소득은 근로 ․ 사업 ․ 재산 ․ 공적이전소득 등을 반영, 재산은 일반재산·금융재산 등을 반영
2023년 기초노령연금 월 202만원 이하로 인상
보건복지부는 2023년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을 단독가구 202 만 원 , 부부가구 323 만 2,000 원 으로 , 2022 년 대비 22 만 원 (단독가구 기준 ) 인상 한다고 한다. 여기서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65세 이상 중 기초연금 수급자가 70%가 되도록 소득·재산수준, 생활실태, 물가상승률 등을 고려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액을 말한다.
< 2023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(2022년 대비) > | ||||
구분(가구) | 2022년 | 2023년 | 증가액(비율) | |
선정 기준액 | 단독 | 180만 원 | 202만 원 | 22만 원(12.2%) |
부부 | 288만 원 | 323.2만 원 | 35.2만 원(12.2%) |
1. 2023년 기초노령연금 기준 월 소득인정액 202만원 이하 가능
노인 단독가구 의 경우 2023년 1월부터 월 소득인정액이 202만 원 이하 이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되며, 2022 년도에 소득인정액이 180 만 원을 초과 하여 , 기초연금을 받지 못하던 어르신 들도 2023 년도에는 소득인정액이 202 만 원을 넘지 않으면 기초연금을 신규로 받을 수 있다.
2. 일하는 어르신 불이익
근로소득 공제액은 2023년도 최저임금 인상률 5%를 반영, 2022년도 103만 원에서 108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여, 일하는 어르신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기초연금 수급에 있어 불이익 없이 조정함.
2023년 기초노령연금 신청방법
2023년 기초노령연금 받자
소득인정액이 202만 원 이하인 분들이 기초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주소지 관할과 상관없다.
-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
- 국민연금공단지사
- 보건복지부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신청
- 만약, 거동이 불편한 분은 국민연금공단지사에 ‘찾아뵙는 서비스’를 요청 시 국민연금공단지사에서 직접 집으로 찾아가는 서비스 제공
- 국민연금공단 콜센터 : 1355
2023년 기초노령연금 기초연금 나이?
기초연금 나이는 어떻게 될까?
바로 만나이로 계산을 해야하는데 203년 기초노령연금 기초연금 나이는 2023년에 만 65세가 되는 어르신은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다. 따라서, 생일이 1958년 4월인 어르신은 3월 1일부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으며, 4월분부터 기초연금 급여를 받게 된다.
2023년 기초노령연금 수급기준과 대상자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. 기초연금이 도입된 2014년 435만 명이던 수급자는 2023년 약 665만 명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되며, 기초연금 도입 당시 6.9조 원이었던 관련 예산은 2023년에는 22.5조 원으로 약 3.3배 증가하였다. 코로나가 이제 조금씩 안정화 되어가지만 이제는 경기 침체가 찾아왔다. 부동산도 이제는 일어설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. 2023년은 더 혹독한 한해가 될것 같다. 힘내자.
- 2019한부모가정혜택
- 우체국 준등기
- 2019년 어린이집 호봉표
-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자격
- 2021년 돼지띠 운세
- 기초노령연금 인상
- 2019근로장려금
- 근로소득세
- 기저귀바우처
- 2019 자활급여
- 2019년 기초생활수급비
-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신청
- 2019년 문화누리카드
- 2019년 기준중위소득
- 2024년 쥐띠 운세
-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조건
- 2019근로장려금 지급일
- 2019년 자활급여
- 2024년 원숭이띠 운세
- 기초연금 인상
- 2024년 용띠 운세
- 경기도 청년기본소득
- 기초연금 30만원
- 우체국 준등기 보내는법
- 치킨매니아
- 한부모가정 혜택
- 청년구직활동지원금
- 페메 안보내짐
- 노령연금 30만원
- 2019 한부모가정 혜택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